센터소개
home
Photos
home

마테존과 쿡의 음형이론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노래의 정서함의에 관한 연구

Year
2016
Journal/Conference
한국초등교육
Authors
박정미

초록

본 연구는 학교교육과정에서 초등 학습자가 배우고 경험하게 되는 노래들이 어떠한 정서들을내포하고 표현하는가를 음형 - 정서에 관한 대표적 이론인 마테존과 쿡의 음형패턴이론에 근거하여 분석, 고찰함으로써 현재 사용되는 초등학교 음악교과서 수록곡의 음악 - 정서 표현의 측면을살펴보았다. 음악이 다양한 정서를 내포하고 있고 음악적 정서에 관한 문제는 현대음악교육철학에서 중요하게 간주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음악과 정서의 구체적인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특히감성적으로 민감하게 음악적 소리를 수용하는 초등학습자와 음악적 자극으로서 노래와 연관된음악 - 정서에 관한 연구는 극히 드물다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마테존의 이론에서 나타나는 음악의 조성·리듬과 정서 표현의 관계를 살펴보았고, 쿡의 이론을 통해서는 음고패턴과 정서표현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분석결과, 대다수의 초등학교 노래들은 가사가 담고 있는 밝고 기쁜정서들은 이들 음형이론에서 제시했던 관련 음패턴과 거의 일치하였다. 하지만 선율이 지닌 음악적 표현은 근본적으로 다양한 유형과 차원의 정서를 표현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할 때, 기쁨, 밝은 분위기, 충족감, 당당함, 희망, 평화로움 등으로 제한된 정서는 음악적 표현 또한 제한적으로 특정 범주에만 속하는 것으로 분류되어졌다. 따라서 학교사회라는 공동체 속에서 겪게 되는불안감, 연민, 슬픔, 자아, 공동체에 관한 정서에 관한 표현에 있어서 장조에 기반한 곡들이 대부분이고 상대적으로 단조 곡들이 나타낼 수 있는 정서들이 확연히 결여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교육적 관점에서 학교노래는 두 가지 측면에서 재인식되고 창출되어져야한다. 첫째는 보편적 음악 - 정서적 측면에서 시대와 문화권에 상관없이 모든 문화권의 초등학습자에게근원적으로 다루어지는 정서표현의 악곡들에서도 표현기법들의 다양성이 심도 있게 반영되어야한다. 둘째 현대 한국의 사회문화적 상황에서 시대적합성을 띠며 초등학습자가 동화, 공감할 수있는 이시대가 요구하는 정서들이 적극적으로 학교노래에 다루어져서 창출되어야 한다.
Examination of the emotional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 songs has been conducted, based on the representative music-figure theories of Mattheson and Cook. Music as sonic-patterns intrinsically embraces diverse emotional meaning and its affective representation can be perceived by the listener. This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usical-emotional experience on how music can evoke emotion and its effects on the perceiver are regarded as important educational issue in contemporary music educational philosophy. In spite of considerable emphasis regarding emotional and affective aspects of the music experience not only theoretically but also practical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reveal the concrete relatedness on which specific emotion and feelings can be aroused and provoked by which specific musical factors. Elementary school learners are still developing their sensibility about music-sonic auditory stimulus. Thus, musical elements such as tonal keys and rhythm, and their relative emotional expressions in Mattheson’s theory, and pitch patterns and emotional expressions in Cooke’s theory have been taken into consideration to compare the musical appearance of different songs. The result shows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lodies and emotions presented by lyrics in most of the school songs is consistent with the music-figure patterns which were elaborated by the two music aestheticians. However, in terms of musical elements used to express diverse emotional dimensions, most of the songs are based on major tonality, restricted rhythmic and pitch patterns and emotions. In conclusion,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matters of expressing diverse musical idioms and universal commonality of humanity which can encompass emotions such as sympathy, sorrow, sadness, empathy towards the isolation, separation and weakness as parts of the whole entity should be considered. Second, the emotions which exists and are prevalent in every corner of the school and socio-cultural environment in the contemporary world should be reflected in the school songs to allow the students to assimilate their feelings and empathy.